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

이사할 때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정산하는 방법

by 나세나세님 2025. 2. 3.

바야흐로 이사시즌입니다. 이사할 때 체크 해야 하는 것들이 아주 많습니다. 특히 공과금 정산은 공과금마다 정산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지 않으면 이사 당일 곤란함을 겪게 될 수도 있으니 미리 체크 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삿날 반드시 정산되어야 하는 공과금을 종류별로 알아보고 정산 방법까지 체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사할 때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정산하는 방법

 

1. 수도요금 : 이사 당일 각 지역 수도사업소 또는 콜센터(120번)로 전화하셔서 접수 하시면 됩니다. 

 수도 계량기에 있는 지침을 알려주면 일할 계산 후 안내를 해 주십니다. 

빌라나 원룸등의 경우 집주인이 부담(관리비나 월세에 포함)하거나 인원수대로 나눠서 청구하기도 합니다. 이런경우에는 집주인에게 정산 방법에 대해 미리 문의 하시어 이사 당일 전출에 문제가 없게 체크 해 두시길 추천 드립니다. 

 

 

2. 전기요금 : 이사 당일 한전 고객센터 (123번)로 전화해 계량기 지침을 알려주면 금액과 계좌번호를 보내줍니다.

안내받은 금액을 입금하면 전기요금 정산은 끝납니다. 

스마트 한전 어플을 이요해서 온라인 정산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스마트 한전어플 - 메뉴 - 민원신청/결과 - 이사 요금 단순 계산 - 고객번호 10자리와 계량기 지침정보 입력 후 정산

 

 

3. 도시가스 : 도시가스는 가스를 차단해야 하기때문에 이삿날이 아니라 미리 전출을 신청 해야 합니다. 늦어도 이사 3일 전까지는 꼭! 지역 도시가스 센터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전출 신청을 해 두면 예약한 날에 기사님이 방문하셔서 도시가스를 차단하는 작업을 해 주신 뒤 요금을 정산 해 주십니다. 현장에서 바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도시가스 전출 신청은 전화로 접수를 하거나 지역 도시가스 센터의 카카오톡 채널이 있으면 이용하셔도 됩니다.  이사 가는 곳에도 도시가스 설치가 필요한 경우 이때 전입신청도 함께 하시면 편리합니다. 

전입의 경우에도 기사님이 방문하셔서 가스를 연결해 주시게 됩니다.  

 

 

정신없는 이삿날 꼭 처리해야 하는 공과금을 종류별로 알아두고 당일 또는 미리 공과금 정산을 위한 예약을 해 놓으시고

아파트는 관리사무소에 방문하셔서 관리비도 정산을 하셔야 됩니다. 이 때 장기수선충당금을 돌려받게 되니 잊지말고 챙기시길 바랍니다.